쉽게 읽는 브라질 경제 이야기: 군사독재 전반기 1964-1973 (3부)
군정의 시작과 함께 실행되었던 개발계획들은 비교적 성공적이었지만, 국가가 선도국가가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분야인 교육과 관련한 성과에 대해선 비판을...
군정의 시작과 함께 실행되었던 개발계획들은 비교적 성공적이었지만, 국가가 선도국가가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분야인 교육과 관련한 성과에 대해선 비판을...
까스뗄로 정부의 PAEG (정부 경제실행계획)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기존에 발표되었던 계획들은 스스로 정한 목표들마저 달성하지 못하였는데, PAEG는 물가, 재정수지, 총생산(GDP)에서...
브라질에서의 군사 독재는 1964년부터 1985년까지 20년이 조금 넘는 기간 지속되었지만, 1인 독재체제가 아닌 군의 집단체제로 이들은 군인들로만 구성된 선거인단을...
1959년 쿠바에 혁명이 일어나면서 유럽과 아시아에서 소련과 패권을 다투던 미국의 눈길은 중남미로 향하게 된다. 미국이 중남미에서의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2014년도 브라질 월드컵은 많은 환호와 비판 속에서 개최되었다. 합리적인 비판을 하는 그룹 층에서는 월드컵같이 막대한 재정이 지출되는 국제 행사보단...
1956년 혼란스러운 정국 속에 대통령으로 취임하는 주셀리노 쿠비세크(JK)는 의회와 행정부를 두루 거친 의사 출신의 노련한 정치인이었다. 군의관 생활을 하던 주셀리노는...
1954년 8월 24일 히우 데 자네이루에 위치한 까데떼 궁 (Palácio Cadete)에서 바르가스 대통령은 자살한다. 바르가스는 대통령직에 취임한 순간부터 국가주도...
세계 2차 대전 동안 브라질은 전쟁 참가국들 대상으로 다양한 원자재를 공급함으로 수출이 많이 늘어났었고, 동시에 1930년대부터 지속한 완제품 수입...
두트라가 대통령이 당선되는 시점의 세계는 2차 대전이끝나며 냉전 시기가 시작되는 순간이었다. 브라질 경제는 1930년대부터 적극 수입을 제한함으로 자국 내의...
바르가스 1차 정부 (1930~1945년)가 남긴 유산은 과연 무엇일까? 15년간의 장기 집권이라는 민주적인 관점을 뒤로한 채, 오로지 경제적인 시각으로만 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