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아침] 브라질 공공 리더십 센터(CLP)의 최근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브라질의 식품 가격 상승은 달러 강세, 공공 재정 불확실성, 기후 요인 등 내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14일 브라질 현지 매체 G1에 따르면 보고서는 “달러 강세가 국제 식품 가격 상승을 부추기고, 공공 재정 불확실성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식품 가격 상승에 기여했다고 지적했다”며 “특히 남부 지역의 강우, 가뭄, 산불 등 기후 요인은 농작물 생산량 감소를 초래해 식품 가격 상승을 더욱 심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브라질 지리통계원(IBGE) 데이터에 따르면, 작년 브라질 식품 가격은 7.7% 상승했다. CLP는 2024년 하반기 달러 대비 지수 상승률이 브라질 헤알 대비 상승률보다 낮았던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식품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내부 요인으로 판단했다.
CLP는 식품 가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취약 계층에 대한 직접적인 소득 지원 정책 강화를 권고했다. 단기적으로는 소득 이전을 확대해 취약 계층의 사회 보호 수단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다만, 이러한 정책은 재정적 지속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LP는 “재정적 지속 가능성은 환율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정부가 건전한 재정 성과를 보이면 헤알화 가치 상승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CLP는 식품 가격 안정화를 위해 직접적인 가격 통제, 식품에 대한 관세 또는 부가가치세(IVA) 감면, 전략적 재고 관리 정책, 수입 관세 감면 또는 수출 금지 등 다양한 대안을 평가하고 의견을 제시했다. CLP는 “식품 가격 상승과 변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일 정책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시장 신호를 보장하는 정책과 빈곤층 지원 조치를 결합하고, 중장기적인 개혁을 통해 식품 부문 전반의 경쟁력과 회복력을 증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식품 가격 상승은 지난해부터 브라질 정부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였다. 여론 조사에서 슈퍼마켓 물가가 룰라 대통령의 지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정부는 대응 방안을 모색해왔다. 룰라 대통령은 관련 부처 장관들을 소집하여 국내 식품 가격 하락에 기여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조치를 논의했으며, 일부 식품에 대한 수입 관세 감소 가능성이 시사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웰링턴 디아스 사회개발부 장관이 보우사 파밀리아 혜택 금액 인상 검토를 발표했으나, 민원부는 “정부 내에서 보우사 파밀리아 혜택 금액 인상에 대한 검토가 없으며, 이 주제는 정부의 의제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